ELS 상품 투자 꿀팁 9가지 : ELS 수익률 위험성 주의할 점

Posted by ::0
2017. 3. 13. 06:49 재테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ELS 상품 투자 꿀팁 9가지 : ELS 수익률 위험성 주의할 점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상품

파생결합증권(ELS,DLS)과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하는 상품(ELT,ELF)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변동함에 따라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막연히 수익을 안겨줄거라는 생각으로 투자해서는 안됩니다.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님

ELS는 증권사가 발행하고, ELT,ELF는 은행과 보험사에서 판매합니다. 이들 상품은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닙니다. 판매한 은행이나 증권사가 파산을 하면 투자원금을 못찾는다는 것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꼬리위험(Tail risk)

파생결합증권은 손실이 발생하면, 손실의규모가 더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른바 테일리스크, 꼬리위험이라고 합니다. 2003년~2015년동안에 손실이 발생했던 ELS는 약 37%의 손해를 봤습니다.



  손익발생 조건에 대한 이해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올라가면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손익발생 조건과 기초자산에 대한 이해를 반드시 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ELS 수익률과 위험성은 비례

위험하고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은 상품이 수익률이 좋습니다. 파생결합증권의 기초 자산이 여러개일 때, 기초자산에서 하나라도 손실이 발생하면, 수익률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높은 수익률을 제시한 상품이 더 위험하다는 사실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ELS 중도해지하면

ELS는 중도해지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후에 중도 상환하는 경우, 중도상환가격에 따라서 원금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조기상환은 조건 충족시 가능

조기상황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할때만 가능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투자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초자산 가격회복기간

파생결합증권의 경우 기초자산의 가격이 하락하여 손실발생조건을 넘겼을 때, 제한된 기간 동안에 회복하지 못하면 손실은 피할수 없습니다.



  ELT, ELF는 예금이 아님

은행이나 보험사 등에서 판매하는 ELT, ELF는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은행에서 판매한다고 해서 예금은 아닙니다.



  마치며..

파생결합증권은 다른 투자상품들에 비해서 위험성이 높은 투자입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여유자금을 가지고 본인의 투자원칙에 알맞게 꼼꼼히! 신중하게! 투자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