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주식 잘하는 방법

Posted by ::0
2017. 3. 15. 18:04 재테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식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주식 잘하는 방법




다음은 주식, 채권투자 실패 사례로 실제 있었던 상황입니다. (출처:금융감독원)


  상황1) 


회사 동료의 추천에 솔깃해 코스닥의 A기업에 3천만원을 투자한 직장인 윤모씨.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A기업이 재무상황이 어려워져 상장폐지되면서 윤씨는 주식에 투자한 돈을 모두 날리고 만다. 윤씨는 "A기업이 무슨 사업을 하는지 재무상태는 양호한지 등 기초적인 내용도 살펴보지 않고 투자한 것이 화근"이라며 뒤늦게 후회를 하고 있다.



  상황2)

자영업자 김모씨는 평소에 활동중이던 인터넷 주식 카페에서 비상장사인 B기업의 광고를 보게 된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우리 회사에 투자하면 상장 후 엄청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광고에 혹해 5천만원을 투자한 김씨. 결국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김시는 광고가 신빙성 있는 정보인지 꼼꼼히 따져보지 않았던 것을 후회하고 있다.





주식, 채권 투자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회사는 조심하라

-최대주주 변경이 잦은 회사는 지배구조 변경으로 인한 경영불안으로 회사 경영이 안정적이지 않고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대주주 변동내역 확인방법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접속

->공시서류검색(회사별 검색) 클릭

->회사명 입력, 기간 설정 후 정기공시 클릭

->사업(분기,반기)보고서 클릭

->'주주에 관한 사항'란 '최대주주 변동현황'등에서 내용 확인


  임직원의 횡령, 배임 발생여부를 확인하라

-임직원의 횡령, 배임 등의 혐의가 적발된 사실이 있는 경우, 기업에 대한 신뢰도 저하, 내부 통제 취약에 따른 경영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횡령,배임 내용 확인 방법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접속

->공시서류검색(회사별 검색)클릭

->회사명 입력, 기간 설정 후 정기공시 클릭

->사업(분기,반기)보고서 클릭

-> '그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란'제재현황'에서 내용 확인




  사모방식의 자금 조달 비중이 큰 회사는 조심하라

-회사가 재무상태가 악화되면 절차가 까다로운 공모(일반투자자 대상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런 회사들은 사모방식으로 자금 조달을 많이 하게 됩니다. 


*자금조달 현황 확인 방법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접속

->공시서류검색(회사별 검색)클릭

->회사명 입력, 기간 설정 후 정기공시 클릭

->사업(분기,반기)보고서 클릭

->'그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란 '직접금융자금의 사용'또는'채무증권 발행실적'에서 확인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를 받은 기업은 신중하게 투자

-증권신고서 정정요구가 발생하거나 2회 이상 정정요구가 반복되는 기업들은 재무구조가 부실하거나 실적의 악화 등으로 향후에 사업 전망이 불확실해질 위험성이 높습니다. 


*정정요구 내용 확인 방법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접속

->공시서류검색(회사별 검색)클릭

->회사명 입력, 기간 설정 후 검색

->'정정신고서 제출요구'항목이 있는지 확인

->정정대상 신고서의 정정 내용을 확인





  고수익을 미끼로 한 비상장주식 투자권유 주의

-비상장주식은 환금성이 낮고, 투자위험도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공시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소규모 비상장법인은 더욱 조심하세요.


*투자위험요소 확인방법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접속

->공시서류검색(회사별 검색)클릭

->회사명 입력, 기간 설정 후 발행공시 '증권신고'또는 '소액공모'클릭

->해당신고서의 '투자위험요소'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