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기한과 유통기한 차이점
소비기한과 유통기한 차이점
소비자들은 식품을 구입시에 유통기한을 가장 먼저 봅니다. 원료, 원산지 등의 다른 요인보다 유통기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데요. 국내에서는 '소비기한'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지 않아서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통기한은 식품이 법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기한이고,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은 소비기한입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은 먹으면 안된다는 인식이 있어, 유통기한 지난 음식물 폐기 비용이 한해 7,000억원에 이릅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2013년 7월부터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같이 표기하는 것을 권장하고있습니다.
미국의 경우에도 섭취기한, 판매기한, 최상섭취기한 등 다양한 정보를 복수 표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소비기한으로 표시하면 음식물 낭비도 막을 수 있고, 식품산업 발전, 소비자 인식 수준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구입한 우유가 유통기한이 지나면 버리는데요. 개봉을 하지 않은 우유는 유통기한으로부터 50일 까지도 섭취가 가능합니다.
식품별 소비기한
우유 50일
식빵 20일
치즈 70일
달걀 25일
두부 90일
액상커피 30일
요구르트 20일
냉동만두 1년 이상
우리나라의 유통기한 관련 제도는 설탕, 소금 등 일부 첨가물에 대해 적용하는 '제조일자', 식품 대부분에 적용되는 '유통기한',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식품에 적용되는 '품질유지기한'이 있습니다. 품질유지기한은 소비기한과는 다르게 '식품의 품질이 최상으로 유지되는 기한'을 뜻합니다.
이상으로 유통기한 소비기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 콜레스테롤 낮추는 음식 9가지 (0) | 2018.01.24 |
---|---|
꼰대 방지 5계명, 꼰대 육하원칙 (0) | 2018.01.23 |
가전제품 싸게 사는법 꿀팁 정리 (0) | 2017.12.20 |
깔끔하게 글 잘쓰는 법 11가지 (0) | 2017.11.21 |
번아웃 증후군 테스트 증상 치료방법 (0) |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