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

Posted by ::0
2017. 7. 20. 17:18 경제공부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






중소기업 기준


중소기업법 시행령에 따르면 자산총액이 5천억원 미만이어야 하고, 각 업종에 따라서 매출액 기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복, 가죽, 1차 금속, 가구 제조업은 평균 매출액이 1500억원 이하일 때 중소기업 기준에 들어갑니다. 농업, 임업, 어업, 광업 등은 평균 매출액이 1000억원 이하일 경우 중소기업이 됩니다.





중견기업 기준


중견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속해있지 않은 나머지 기업 집단을 말합니다. 

카카오같은 경우 자산총액 5조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속했다가, 10조원 이상으로 기준이 바뀌면서, 중견기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대기업 기준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매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지정합니다. 기업 계열사 자산 총액이 10조원을 넘게 되면 대기업 집단으로 들어갑니다. 기존에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이 자산 5조원 이상이었으나, 10조원으로 상향되면서, 대기업 집단수는 65개에서 28개로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대기업집단의 단점


대기업집단에 속하게 되면 공정거래법상 규제와 함께 38개 원용 법령상 규제가 적용됩니다. 중견기업보다는 대기업이 여러가지 제재를 받게 됩니다. 사업영역을 확대하거나 신사업에 진출할 때도 대기업 집단은 제한을 받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대기업 보다는 중견기업 타이틀을 선호합니다.





요약


중소기업 : 업종별 매출액 400억~1500억 미만. 자산총액 5000억 미만 기업 집단.

중견기업 :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속하지 않은 기업 집단.

대기업 : 자산총액 10조 이상의 기업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