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 낙인효과)

Posted by ::0
2018. 2. 12. 16:30 심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 낙인효과)




스티그마 효과


부정적인 낙인이 찍힌 사람이 실제로 그렇게 행동하게 되어 부정적 인식을 더욱 강화하는 현상. '낙인효과'라고도 합니다.



주변에서 어떤 사람에게 편견이나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 영향으로 대상은 점점 더 나쁜 행동을 하게되고, 주변 인식도 더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특정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악순환을 만들어내는 것을 뜻하는 말로 범죄학,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스티그마란 낙인이란 뜻입니다. 






스티그마 효과 사례


1) 구직활동

기업에서 사람을 뽑을때, 동일 조건이라면 미취업 경험만을 근거로 응시자에게 결격 사유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2) 선별적 무상급식

저소득 계층 아동에 대한 선별적 무상급식은, 아동에 대한 낙인효과가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3) 비행청소년

범죄를 저지를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은, 그들이 다시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사람으로 낙인찍는 악순환을 초래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


스티그마 효과의 반대말은 피그말리온 효과가 있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란 타인의 긍정적인 기대나 믿음이 있을 때, 그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로젠탈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