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연말정산 소득공제 받는 방법
[재테크 TIP]
월세 연말정산 소득공제 받는 방법
월세 75만원 돌려받기
연말정산을 '13번째 월급'이라고 했었는데, 지금은 그 말도 무색해질 정도로 환급받기가 까다로워졌습니다. 꼼꼼하게 챙기지 않으면 세금을 더 낼 수도 있는데요. 2013년부터 시행된 월세 소득공제를 아직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1년에 최대 750만원까지 공제가 된다고 하니, 오늘은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월세 소득공제 받는 조건은?
주거용 오피스텔을 포함해 주택 월세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함.
1. 무주택 세대주일 것.
2. 소득 7,000만원 이하일 것.
3. 임차 대상이 국민주택규모(85제곱미터)보다 작은 주택.
4. 전입신고 : 주민등록과 임대계약서 상의 주소가 같도록 전입신고를 해야 함.
5. 확정일자 : 보증금이 있는 경우 임대계약서에 꼭 확정일자를 받아야 함.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여야 하고, 소득 7,000만원 이하, 월세를 사는 집이 85제곱미터 이하여야 하고,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월세 소득공제 조건이 충족됨.
소득공제 받는 방법은?
서류를 챙겨 홈택스에서 신청. 또는 세무서 방문하거나 우편 발송하기
1. 주민등록등본
2. 임대계약서 사본
3. 월세 지급 증빙 영수증
이렇게 세 가지 서류를 준비해서 가까운 세무서에 제출하면 됨. 월세 지급 증빙 영수증의 경우 이체한 사람이 임대차계약을 쓴 본인이어야 소득공제가 가능함.
월세 소득공제 경정청구
월세 소득공제를 놓쳤거나, 이사를 갔다고 해도, 월세를 낸 후 5년까지 신청이 가능함. 이를 월세 소득공제 경정청구라고 함. 이 때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사본, 월세 입금내역임.
현실적으로는 월세 소득공제를 받으려고 해도 집주인이 싫어함. 월세는 대부분 현금으로 이체하기 때문에 정부에 소득으로 잡히지 않음. 그러나 세입자가 월세 소득공제를 받으면, 국가에 임대소득이 공개되고, 그에 따른 임대소득세를 내야하기 때문.
마치며..
월세 소득공제를 신청하지 않는 조건으로, 월세를 더 깍아주는 집주인도 있습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나라에 임대수익이 등록돼, 세금을 더 내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참 활용하기 어려운 제도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2017/05/05 - [재테크] - 연금저축 절세 노하우 3가지
2017/05/04 - [재테크] - 카드포인트 할인 100% 사용법 5가지
2017/05/02 - [재테크] - 보험 가입전 필수 체크포인트4가지/보험가입요령
2017/04/28 - [재테크] - 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법 근저당권 쉬운 설명
2017/04/17 - [비즈니스]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CEO Top10 엘런 머스크6위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면 돈버는 보험료 할인특약 (0) | 2017.05.14 |
---|---|
대출이자 줄이기 방법 6가지 (0) | 2017.05.08 |
연금저축 절세 노하우 3가지 (0) | 2017.05.05 |
카드포인트 할인 100% 사용법 5가지 (0) | 2017.05.04 |
보험 가입전 필수 체크포인트4가지/보험가입요령 (0) | 2017.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