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갈라파고스 증후군 / 갈라파고스화
[경제용어] 갈라파고스 증후군 / 갈라파고스화
갈라파고스 증후군(또는 갈라파고스 신드롬/ 갈라파고스화)
-한 사회가 고립되어, 세계화와 멀어지는 현상.
-갈라파고스는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1,0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개의 화산섬과 암초로 이루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곳은 원래부터 섬은 아니었고, 육지 혹은 얕은 바다라서 동물들이 오갈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수위가 높아지고 왕래가 차단되었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육지와 멀리 떨어져있어, 독자적으로 진화한 종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는 외래종이 들어오면서, 한 곳에만 살던 고유종은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러한 현상을 비대어 나온 용어가 <갈라파고스 증후군>이다.
갈라파고스화(化)는 한 사회가 고립되어, 세계화와 멀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세계적인 추세와는 다르게 자신만의 독자적인 표준을 고집하다가 어려움에 빠지는 현상이다.
<너무 아름다운 갈라파고스 섬>
<갈라파고스 섬의 멸종 위기 거북이>
갈라파고스화 용어의 유래
-갈라파고스화란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일본 게이오 대학의 나츠노 다케시 교수이다. 그는 일본의 휴대폰이 기술적으로는 앞서있지만,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는 팔리지 않는 현상을 두고 '갈라파고스 증후군'이라 말했다.
갈라파고스 신드롬 사례
-갈라파고스화의 대표적 사례는 일본 IT 기업들이다. 이 기업들은 내수 시장에만 치우친 상품을 개발하고, 세계 시장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IT강국인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3G(3세대 이동통신)를 사용했지만, 일본은 2001년부터 3G를 도입하였다. 한 때는 1억명이 넘는 사용자가 있었고, 이는 미국 시장의 2배였다. 그래서 일본의 기업들은 해외 시장에서 매력을 못 느끼고, 내수 시장에만 집중했던 것이다 .
그러나 경기침체와 포화된 내수시장으로 휴대폰 시장이 위축되는 상황이 발생하자, 뛰어난 IT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으로부터는 외면을 받게 된다.
일본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외면받는 것을 '잘라파고스(Japan+Galapagos=Jalapagos)'라고 일컫는다.
"세계 시장에서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된다"
갈라파고스화는 과거 세계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던 샤프, 도시바의 몰락을 부르기도 했다. 최근의 일본 기업들은 과거 독자기술만 고집하다가 국제적으로 고립된 경험을 교훈삼아서 더 이상 갈라파고스화를 겪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도 일본의 경험을 교훈삼아 변화를 받아들이면 또 다른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같이 보면 좋은 포스팅]
2017/04/21 - [꿀팁] - [강추!!] 몸과 마음이 지칠때 백색소음 사이트 추천 Best7
2017/04/19 - [글쓰기] - 유시민이 전하는 글 잘쓰는 방법
2017/04/17 - [비즈니스]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CEO Top10 엘런 머스크6위
2017/03/23 - [꿀팁] - 구글 검색 꿀팁/ 구글링 하는 방법
2017/03/21 - [비즈니스] - 2017년 세계 부자 순위 Top 10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넛지 마케팅 사례 (0) | 2017.08.16 |
---|---|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 (0) | 2017.07.20 |
경제의 봄 골디락스 장세 현상/경제용어 골디락스 뜻 (0) | 2017.03.29 |
호텔 등급 기준 별 분류 /호텔 등급 무궁화 (0) | 2017.03.24 |
주글라, 키친 파동 엘리어트 파동 (0) | 2017.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