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봄 골디락스 장세 현상/경제용어 골디락스 뜻
[경제용어]
경제의 봄 골디락스 장세 현상
요즘 경제 신문에서는 '골디락스'란 말이 자주 언급됩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오랫동안 침체되었던 세계 경제가 다시 호황기가 도래할 거라는 예측때문입니다.
과연 세계 경제에 다시 호황기는 올까요?
골디락스란
-경제 상황이 높은 성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오르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 상태. 일반적으로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딱 적당한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이상적인 경제 상황을 뜻합니다. 경제 분야 이외에도 마케팅, 의학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골디락스 유래
골디락스라는 용어는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마리 곰>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골디락스는 숲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오두막을 발견하고 들어갔습니다. 이 오두막의 주인은 세마리 곰이었습니다. 세마리 곰은 외출해서 집에 없었고, 식탁에는 뜨꺼운 아빠 곰 스프, 차가운 엄마 곰 스프, 먹기 적당한 아기 곰 스프가 있었습니다. 골디락스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아기곰의 스프를 먹고 난 후, 너무 딱딱하지도 너무 부드럽지도 않은 아기곰의 침대에 누워 잠에 빠집니다.
경제학자 데이빗 슐먼이 처음으로 사용한 골디락스는 인플레이션을 우려할만큼 지나치게 과열되지 않으면서, 경기 침체를 우려할 정도로 냉각되지 않은 이상적인 경제상태를 비유한 용어입니다. 경제에 골디락스가 오면 물가상승이 없으면서, 실업률 하락, 소비 확대, 주가 상승과 함께 GDP가 성장해 경제의 봄과 같은 시기를 맞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기순환이론에서 경기는 회복기,호황기,후퇴기,불황기의 단계로 반복되며, 이중 골디락스는 불황기와 호황기에 등장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골디락스 시대
경제학자들은 1950년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의 미국경제를 대표적인 골디락스 시대라고 이야기합니다. 당시의 미국 경제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수준의 호황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이후 고유가와 부동산 시장 붕괴,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는 침체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지금의 세계 경제는 장기화된 저성장과 경기침체, 브렉시트로 인해 불확실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미국 트럼프는 反자유무역을 외치고 있는데, 우리 경제에는 언제 골디락스 시대가 올까요..
2017/02/04 - [비즈니스] - 세계 시가총액 순위 / 세계 기업 순위
2017/02/10 - [재테크] - 부동산 전망 - 올해 집값 전망
2017/02/21 - [재테크] - 세테크 방법 세금 절약하기 소득공제 상품
2017/03/20 - [재테크] -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 무료조회 방법 간단 정리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하트 꾸욱! 부탁드리겠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 (0) | 2017.07.20 |
---|---|
[경제용어] 갈라파고스 증후군 / 갈라파고스화 (0) | 2017.04.24 |
호텔 등급 기준 별 분류 /호텔 등급 무궁화 (0) | 2017.03.24 |
주글라, 키친 파동 엘리어트 파동 (0) | 2017.02.17 |
경제용어 펠츠만 효과란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