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투자 방법 기본 원칙
펀드 투자 방법 기본 원칙
은행 기준 금리가 1.25%이다. 지금과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는 우리 부모님 세대처럼 은행 예금, 적금으로는 돈 모으기가 힘들다. 은행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낮으니, 은행 예금보다는 주식, 펀드, 채권 등에 눈을 돌리게 된다. 오늘은 펀드 투자 방법과 기본적인 원칙에 대해 간략히 적어보겠다.
펀드는 3년 이상
적립식 펀드는 3년 이상 투자해야 한다. 펀드를 적립식으로 투자할 때는 매달 소액을 투자해서 주식이나 채권을 사서 운용한다. 주가가 높을 때는 매입 수량이 적지만, 주가가 낮을 때는 펀드가격이 낮아서 매입 수량이 많아진다. 적립식 펀드의 경우 단기간에 투자를 하게 되면 증시가 상승장이라 큰 수익률을 올리지 않는 한 손해를 보고 팔수밖에 없다.
그러나 적립식 펀드를 3년 이상 장기간 투자하면 그동안에 주가가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해 주가와 매입가격을 통한 손해, 이율이 평균을 이뤄 결국 수익이 생긴다. 장기적으로는 수익의 안정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소액투자
소액투자는 목돈 없이도 투자가 가능하고, 목돈으로 투자하는 것에 비교해 봤을 때 투자 위험도가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소액투자는 적립식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 매달 일정한 금액을 펀드에 나눠 투자해 수익률을 올리는 상품이기 때문에, 소액으로 종자돈을 마련하는데 좋은 투자방법이다.
목돈은 분산투자
소액투자와 달리 목돈은 분산 투자하는 것이 좋다. 목돈을 한 종목에 몰빵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투자성향, 나이, 안정도, 재정상황 등을 고려해 주식형, 채권형 등의 펀드 상품에 적절히 나눠서 투자해야 투자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수가 있다.
본인이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70%는 주식형에, 나머지는 채권형이나 MMF에 투자한다.
안정지향적인 투자자라면 주식형의 비율을 조금 더 줄이고, 안정적인 채권형의 투자 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수 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테크 방법 세금 절약하기 소득공제 상품 (0) | 2017.02.21 |
---|---|
1금융권 2금융권 차이점 (0) | 2017.02.20 |
부동산 전망 - 올해 집값 전망 (0) | 2017.02.10 |
펀드 환매 방법/ 펀드 환매시기 (0) | 2017.01.31 |
통장쪼개기 방법-통장관리 방법 (0) | 2017.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