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금융권 2금융권 차이점
1금융권 2금융권 차이점
금융권은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뉜다. 우리가 흔히 아는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과 부산은행,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그리고 농협, 수협 같은 특수은행이 1금융권이다. 2금융권은 증권회사, 보험회사 저축은행 등이 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점
1금융권은 은행 규모가 크고 지점이 많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2금융권들은 1금융권 은행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지점수가 적다.
1금융권은 쉽게 이용할수 있고 안정성이 더 높아 사람들은 1금융권을 선호한다. 당연히 2금융권 입장에서는 사람들을 끌어모으기 위해서는 1금융권보다 좀 더 높은 이자를 챙겨줘야 한다. 그래서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예금 금리가 더 높다.
2011년에 저축은행사태처럼 은행이 망하는 일도 생긴다. 그러나 2금융권도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므로(원금에 대한 보호이다. 이자는 제외) 종자돈을 모으기 위한 예금이라면 당연히 2금융권을 이용해야 한다.
현재 1금융권 1년 정기예금 금리가 1.5%정도이다. 반면에 2금융권 저축은행은 정기예금 금리가 2.2%대이다. 종자돈을 모으기 위해, 그리고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소액이라도 조금 더 이자를 주는 곳을 찾아야 한다.
재테크를 하는 직장인들은 저축은행을 많이 찾는다. 2금융권이 1금융권 시중은행보다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주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저축은행들도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펼쳐서 1금융권 못지않게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해졌다.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조금 더 높은 수익률과 언정성을 같이 보장 받을 수 있는 저축은행을 가능한 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취생 75만원 돌려받는 방법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0) | 2017.02.23 |
---|---|
세테크 방법 세금 절약하기 소득공제 상품 (0) | 2017.02.21 |
펀드 투자 방법 기본 원칙 (0) | 2017.02.19 |
부동산 전망 - 올해 집값 전망 (0) | 2017.02.10 |
펀드 환매 방법/ 펀드 환매시기 (0) | 2017.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