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한국 재계순위/재벌순위 TOP10

Posted by ::0
2017. 2. 1. 10:22 비즈니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6년 한국 재계순위/재벌순위 TOP10



최근 최순실게이트와 관련한 특검으로 재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검찰개혁과 재벌개혁이 우리 사회의 큰 화두가 되었다. 우리나라 재벌들은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을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재벌순위에 대해 알아보겠다.

우리나라 10대 그룹 순위이며, 자산 기준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하면 순위는 달라진다.






10위 한진


땅콩리턴즈의 그 한진그룹이다. 한진그룹 계열사 수는 38개, 연매출은 23조, 자산은 37조원이다. 법정관리에 들어간 한진해운의 영향으로 시가총액 순위도 5계단이나 하락했다. 




9위 현대중공업


조선업이 활황이던 시절에는 현대중공업의 최대주주였던 정몽주가 삼성 이건희를 제치고 우리나라 최고 부자였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조선,해운업의 불황으로 현대중공업의 폼도 많이 죽었다. 현대중공업의 계열사 수는 26개, 연매출은 31조, 자산은 53조원이다.



8위 한화


한화는 계열사 수 57개, 연매출 52조, 보유자산 54조원이다.



7위 GS


계열사 수 69개, 연매출 12조, 자산 60조원이다. GS는 자산규모에 비해 매출액이 다소 부진하다.



6위 포스코


포스코는 계열사 수 45개, 연매출 58조, 보유자산 80조원이다. 작년 10대 그룹에는 두산이 있었는데, 올해는 두산이 빠지고 포스코가 새로 들어왔다.






5위 롯데


삼성과 더불어 요새 꽤나 시끄러운 롯데가 5위이다. 롯데의 계열사 수는 93개로 10대 그룹중에 계열사가 가장 많으며, 연매출 83조, 자산은 103조원이다. 재계서열 5위지만, 보유한 부동산과 일본내 지분들을 합하면, 실제 자산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4위 LG


전경련을 가장 먼저 탈퇴한 LG가 4위이다. 계열사 수 67개, 연매출 101조, 보유자산 105조이다. 



3위 SK


SK는 계열사 수 86개, 연매출 130조, 보유자산 160조원이다. 



2위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그룹은 계열사 수 51개, 연매출 145조, 보유자산 209조원이다. 



1위 삼성


삼성은 계열사 수 59개, 연매출 300조, 보유자산 348조원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의 폭발 사태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호황으로 주가 200만원을 찍으며 역대 최고 실적을 갱신중이다. 




최순실 사태로 인한 정경유착이 드러나면서, 1000만개의 촛불은 재벌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50여년간 재벌 성장 정책의 논리적 기반이었던 낙수효과는 이제 국내외 전문가들도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 정부가 시장에 돈을 풀어도 대기업에 사내 유보금으로 쌓일뿐 투자나 일자리창출로 이어지지 않앗다. 한국경제가 성장한 만큼 재벌에 대한 경제력은 더욱 집중되었고, 부의 편중은 더욱 심해졌다.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해서는 대기업 성장 주도의 산업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