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시 유의사항 8가지

Posted by ::0
2017. 5. 3. 19:00 주식/ETF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ETF 투자시 유의사항 8가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ETF투자시에 주의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뽑아 만든 상품입니다. 개인투자자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투자할 수 있어서 주목받는데요. 하지만 엄연히 투자상품인만큼 원금을 까먹을 수 있는 위험도 있습니다. 






1.환율위험(해외지수ETF, 원자재ETF)

-해외에 상장된 지수나 원자재 선물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는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됩니다. 예를들어, 미국 S&P500지수에 연동되는 ETF에 투자할 경우, 지수가 10%올라도, 환율이 10%하락하면 수익이 거의 없거나,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환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ETF도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H)'와 같이 펀드명 말미에 (H)자를 붙인 상품은 헤지를 통해 환위험을 상쇄한 ETF입니다.



2.매매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됨

-ETF는 원칙적으로 보유기간동안 발생한 이익에 대해 세금을 매깁니다. 소득세법상 배당소득세 15.4%입니다. 


단, 국내 주식형 ETF의 매매차익에는 과세하지 않습니다. 또한 일부 해외지수 ETF도 해외비과세 전용 펀드 계좌를 통해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펀드 상품

-최근의 ETF는 저렴한 비용으로도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주식처럼 실시간매매로 쉽게 현금화할 수 있어서 개인투자자들에게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금 보장상품이 아니라서 결혼자금처럼 투자기간이 정해진 경우에는 신중하게 투자해야 합니다. 손실난 상태에서 자금이 필요하면, 손절매할 수 밖에 없습니다.




4.자산 구성 내역을 꼭 확인할 것!

-내가 투자하고 싶은 ETF가 어떤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지 자산구성내역(PDF)을 확인해야 합니다. ETF는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포트폴리오의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5.상품수수료와 보수가 천차만별

-ETF는 '주식'처럼 매수,매도시에 수수료를 내야하면서, '펀드'이기 때문에 운용보수가 자산에서 빠져나갑니다. 2017년 2월 기준, 상장된 ETF중에서 보수가 가장 저렴한 ETF는 0.05%이고, 가장 비싼 경우는 0.99%입니다. 장기투자시에는 투자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미리 확인하고 매매바랍니다.






6.<추적오차>와 <괴리율>이 큰 ETF투자는 신중할 것!

-'추적오차'는 ETF의 순자산가치가 기초지수를 못 따라가는 것을 뜻합니다. 주로 ETF포트폴리오에 기초지수 구성 종목 전체를 편입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추적오차가 큰 ETF는 매매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괴리율'은 ETF가 거래되는 시장가격과 순자산가치의 차이입니다. 거래시간의 차이가 나서 일시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괴리율이 비정상적으로 크고, 오래 지속된다면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7.레버리지,인버스ETF는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음

-기초지수가 1%오르면, 레버리지ETF는 2% 오릅니다. 반대로 하락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기간수익률'로 볼 때는 2배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기초지수가 1000포인트에서 시작하여, 다음날 25포인트 상승하고, 그 다음날 25포인트 하락한 경우, 기초지수의 수익률은 변동이 없지만, 레버리지 ETF의 수익률은 -0.14%가 될 수 있습니다. 


인버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버스2x같은 인버스레버리지 상품은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8.합성ETF는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이 내재되어 있음

-ETF는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방식에 따라 '실물ETF'와 '합성ETF'로 구분합니다.

'합성ETF'는 원자재 등의 실물복제가 어려운 기초지수를 추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스왑 거래상대방의 부도나 파산 등의 신용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스왑 거래상대방의 신용도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2017/04/27 - [ETF] - ETF(상장지수펀드) 쉬운 설명 / ETF란

2017/03/13 - [재테크] - ELS 상품 투자 꿀팁 9가지 : ELS 수익률 위험성 주의할 점

2017/03/15 - [재테크] - 주식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주식 잘하는 방법

2017/03/26 - [재테크] - 소액 금 투자 방법 추천/ 금 재테크 정리

2017/04/07 - [재테크] - 크라우드 펀딩 투자방법 소득공제 뜻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주식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상장지수펀드) 쉬운 설명 / ETF란  (0) 2017.04.27
주식과 동일한 ETF거래방식  (0) 2017.03.22
ETF란? ETF가 펀드보다 좋은점  (0) 2017.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