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의 종류
주식형 펀드
운용자산의 60~90%를 주식에 투자합니다. 기대 수익률이 높은 만큼 리스크도 높습니다.
채권형 펀드
운용자산을 60%이상 국공채, 회사채 등에 투자합니다. 리스크가 낮은 만큼 기대수익률도 낮습니다. 펀드회사가 제시하는 수익률은 확정수익률이 아님을 명심하고, 펀드 규모가 큰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혼합형 펀드
주식, 채권, 유동자산에 고르게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본인의 투자목적을 생각하고, 기대수익과 리스크를 감안해 선택해야 합니다.
해외투자 펀드
국내투자 펀드에 비해 고수익, 고위험 상품입니다. 브릭스(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같은 신흥국에 투자하는 펀드가 고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유럽,일본 등의 선진국은 기대수익률이 낮지만, 주가 안정성이 높습니다. 해외투자 펀드는 환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PER수준을 체크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ELS펀드
ELS는 주가연계증권(Equity Linked Securities)이라고 합니다. 운용자산의 일부를 주가와 연계시킨 상품(지수선물, 옵션)에 투자해 금리 외에 추가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입니다.
적립식 펀드
적금처럼 매월 일정액 이상을 불입하면 펀드 운용사가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해 수익을 분배하는 펀드입니다. 적립식 펀드는 코스트에버리징 효과를 누리려면 최소 3년 이상 장기투자를 해야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ETF펀드
ETF는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로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습니다. ETF는 소액으로도 우량주나 특정 섹터에 분산투자가 가능하며,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해 환금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운용수수료가 0.5%로 일반 펀드보다 저렴하며, 증권거래세(0.3%)가 면제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펀드 투자할 때 체크할 것
1. 펀드의 성격. 투자대상 상품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을 벤치마킹(추종 지수)하는지 확인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2. 예상 수익률. 경제성장률, 물가, 경상수지, 금리 등을 기초로 한 예상 PER을 따져봐야 합니다.
3. 과거 수익률. 과거 수익률이 안정적이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과거 수익률이 시장 수익률보다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펀드매니저 확인. 장기간 평균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면 좋은 펀드매니저입니다. 운용사가 자주 바뀐 펀드는 문제가 없는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17/05/13 - [주식투자자] - 3,000억 이상을 번 일본 주식투자자 BNF
2017/05/12 - [슈퍼리치] - 3조원 부자가 된 넷마블 방준혁 의장
2017/02/18 - [비즈니스] - 자사주 매입 효과 이유
2017/02/27 - [비즈니스] - 2016 미국 자수성가 부자 순위 Top10
2017/03/26 - [재테크] - 소액 금 투자 방법 추천/ 금 재테크 정리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히 돈이 필요할 때 보험계약대출 활용법 (0) | 2017.08.02 |
---|---|
주식수수료 절감 꿀팁 (0) | 2017.07.27 |
알면 돈버는 보험료 할인특약 (0) | 2017.05.14 |
대출이자 줄이기 방법 6가지 (0) | 2017.05.08 |
월세 연말정산 소득공제 받는 방법 (0) | 2017.05.06 |